-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 '셀루메드'카테고리 없음 2022. 12. 5. 19:34
2022/12/05 셀루메드 주가 요약
셀루메드는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Biologics),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등의 사업을 주로 하는 회사입니다.
셀루메드는 유로모터스로부터 '전기 배터리팩 장착구조 및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특허권을 양수했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 시장의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회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셀루메드'라고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CELLUMED CO., LTD'로 표기합니다. ※ 당사는 2013년 3월 29일 주주총회에서 정관일부 변경의 승인을 받아 상호가 주식회사 코리아본뱅크에서 주식회사 셀루메드로 변경되었습니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1985년 5월 (주)뉴테크맨으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5월 한국거래소가 개설하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입니다. 또한 2010년 2월 9일 (주)코리아본뱅크와 합병을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의료기기분야와 바이오시밀러 등의 사업분야에 진출하였습니다. 2013년 3월 29일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아 상호를 주식회사 코리아본뱅크에서 주식회사 셀루메드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업의 개요
지배회사인 당사 (주)셀루메드는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Biologics),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사업에서는 탈회골(DBM)및 무릎연골(BMG) 등을 연구·개발하는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과 인공무릎관절(TKR) 그리고 동종이식재(Allograft)를 취급하고 있으며, 바이오로직스 사업부문에서는 골형성단백질(rhBMP2)과 같은 성장인자(재조합단백질)와 활액대체재(VISCOSEAL)를 제조 및 유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당사는 mRNA 백신 생산 효소 사업은 독일과 위탁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개발완료 후 해외 위탁 생산을 통하여 유럽, 북미권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업부문 회사명 비고 의료기기, 바이오로직스, 코스메슈티컬 등 (주)셀루메드 지배회사 환경설비 공사 (주)인스그린 주요종속회사 일반설비 시공업 환경이엔지(주) 주요종속회사 (주)경기그린테크 종속회사 여행 상품 판매 및 중개 (주)에이치씨인터내셔널 종속회사 화장품 유통업 (주)비에이치셀 관계회사 주요 제품 및 서비스
1. 의료기기
① 동종이식재(Allograft)
기증자로부터 채취된 조직은 일련의 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소독 및 멸균 처리를 거쳐 환자가 필요로 하는 조직 결손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현존하는 조직 수복용 치료재료 중에서 가장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현재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분야에서ACL/PCL 재건, Knee/Hip 재건, Spinalbone fusion, Trauma 등에 대한 수술에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Allograft는 기증자시신의 사회학적, 의학적 병력과 관련된 모든 서류를 확보한 후, 특정 교육을 이수한 실무자 및 의사 면허를 소지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의료관리자의 확인을 거쳐 기증된 조직의 안전성을 확보한 후, 철저한 청정관리 시스템을 통해 일련의 가공 처리 및 소독, 멸균을 거쳐 생산됩니다.
② 수술용고정체
인체 내에 삽입되어 골연부 조직과 뼈의 원형복구에 필요한 내고정 와샤와 스크류를 사용하는 인대 재건용 제품입니다. 시술 후에는 관절을 조기적인 운동이 가능하며, 시술의 응용범위가 다양하며, 시술 후 제거가 용이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고, 강도가 탁월하며, 연부조직 및 건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제품들입니다. 또한 환자의 조건에 맞춰 시술이 가능한 다양한 규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③ SPINE
생체용 금속은 고부가 가치사업으로 관절, 척추, 뼈 등의 손상 시 치료를 위하여 인체내에 삽입하는 금속재료로 당사의 주력제품은 척추 내 고정 장치인 OPS System과CTL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생체용 금속인 임플란트는 불과 1998년도만 하더라도 국내는 미국, 독일, 프랑스에서 수입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당사를 비롯한 국내 유수 기업이 다국적기업과 시장 경쟁을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병원을 찾는 빈도는 점차 늘어남에 따라 환자를 위해 고통을 줄이고 수술 및 회복시간을 단축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편, 의료기술이나 수술방법도 여러 재료를 이용, 빠르고 간편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④ 인공관절
인체에 무해한 의료용 금속,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관절을 재건하기위해 사용되는 임플란트로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인공무릎관절 및 인공고관절이 있습니다. 특히, 인공무릎관절은 세계의 인공관절 시장에서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큰 제품입니다. 특히, 기존의 해외 상품들에 비해 다른 원재료와 표면코팅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서 제품에 대한 강도, 내마모도, 중량에 있어 더욱 우수하다는 임상적 평가를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공관절의 경우도 단순 의료기기 제작의 수준이 아닌, 인체의 운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공학적 기법, 마모, 부식, 파괴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재료의 선정 및 재료 표면의 코팅 기법, 체내에 이식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전혀 무해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전한 설계 및 제조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여러 분야의학문적 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 당사가 보유하고 있던 제품은 모바일 베어링형 인공무릎관절 제품군이었으나, 신제품 개발로 인해 고정형 베어링형 인공무릎관절 제품군이 출시되어 인공무릎관절의 제품군이 다양화하였습니다.
당사의 인공무릎관절 제품은 모바일 형으로 국내 식약처로부터 2010년 9월 최초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후 고정형 무릎관절인 LUMINUS-FLEX(L-F) Fixed Knee System)을 개발하여 2013년 9월에 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2.바이오 의약품
① BIOLOGICS
대표적으로는 재조합단백질인 제조합 인간 골형성단백질(rhBMP-2)을 비롯하여, 탈회골기질(DBM) 이식재, 이종 조직 유래의 이종이식재, 그리고 동종 인대 조직을 이용한 자가줄기세포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탈회골기질 이식재는 현재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분야에서 시술에 사용되고 있으며, 재조합골형성 단백질을 원료로 만들어진복합의료기기 역시 식약처 제품 승인을 받아 시장에 출시를 한 상태입니다.탈회골 이식재 제품인 Rafugen DBM은 2016년6월 대만을 시작으로 태국,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과테말라, 도미니카공화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식약청으로부터 의료기기 수출품목허가를 취득하였고, 특히 2018년 4월 미국 FDA 로부터 품목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당사의 제품인 차세대 골이식재 제품인 Rafugen BMP2는 CHO Cell 배양 방식의 재조합 인간 골형성 단백질 rhBMP2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ic Protein-2)을 주원료로 제조한 제품으로 기존 제품보다 빠른 골재생 효과가 있습니다. Rafugen BMP2는 2015년 3월 태국 식약청과 2020년 1월 멕시코, 2월 베트남 식약청으로부터 의료기기 수출품목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3. Cosmeceutical
당사는 뛰어난 바이오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부재생에 탁월한 단백질인 FGF7을 생산하며 우수한 품질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FGF7(Fibroblast growthfactor7 또는K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물질은 상처의 치료 또는 흉터생성의 방지 효능이 뛰어난 성장인자로 2016년 조성물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완료하였습니다.(2016년 06월 16일, 출원번호 제10-2015-0140539호)FGF7은 손상된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상처가 생긴 피부의 건강한 회복에 필수적인인자/단백질로써 전세계적으로 널리 연구되고 알려진 단백질이며 피부내 활동영역이 표피에서 진피까지 폭넓게 작용하고 있는 성장인자 입니다. 이러한 작용으로 피부3개 구성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상 합성에 관여하여 피부탄력 및 노화관리(주름, 처짐, 건조함 등)에 효과적인 단백질입니다.
4. 환경설비 공사업
당사의 자회사인 (주)인스그린은 2019년 유기성 폐기물 발효장치 특허권 취득 및 2020년 친환경 스마트한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그 운영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국내 다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계,시공 및 운전노하우(Know-How)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쾌적한 주변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녹색환경(GREEN) 친화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기업이념을 담아 2021년도에 (주)인스그린으로 사명을 변경 하였습니다.
5. 일반설비 사업
당사의 자회사인 환경이엔지(주)는 1997년 9월에 ISO 9001 인증획득 및 최신 CAD 및 CAM SYSTEM을 설치하여 닥트및 배관을 설계·제작하여 현장조립식 공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