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의 공백을 '문배철강'이 채우나카테고리 없음 2022. 9. 23. 22:41
2022/09/23 문배철강 일봉 요약
문배철강은 1차 철강산업에 영위하며 스켈프, 강판, 형강, 후판, 코일, 박판 등 1차 형태의 철강재 및 표면처리강재를 생산하고 있다.
초강력 태풍 '힌남노'로 공장 가동에 차질을 빚은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여전히 정상 가동을 못 하고 있는 가운데, 현대제철에서 노조가 파업가능성을 거론한 영향으로 철강주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문배철강이 가장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의 명칭
회사의 명칭은 "문배철강 주식회사"라고 표기합니다. 영문으로 MOONBAESTEEL CO.,LTD라고 표기합니다.
주요사업의 내용
문배철강은 공정상 기준으로 제2차 가공업체로 분류되며 기타 제강업체는 철광석과 석회석 및유연탄을 원료로 하는 전로업체와 고철을 원료로하는 전기로 업체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구매처인 포스코의 원재료수급 정책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철강산업은 대규모 자본집약적 장치산업으로서 규모의 경제가 큰 산업이며, 주요산업에 필요한 기초 소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산업 입니다. 또한,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전 산업에 필수적인 기초소재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소재산업의 특성상 전후방산업의 생산과 부가가치를 증대시키며, 최종 수요제품의 품질과 가격경쟁력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철강산업은 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 및 영향력이 크고, 특정 사업시행에 대한 초기투자 비용이 큰 것이 특징이며, 투자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도 막대하여 기업의 성장 발전 및 존속에 지대한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철강산업은 오랫동안 한국경제성장을 이끌어온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 산업의 성장성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철강수요 확대로 2000년대 중반까지 호황기를 맞았던 철강업계는 이후 중국산 철강재 대량유입과 업체들의 대규모 투자로 공급과잉 상태에 봉착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국내 산업의 성장세를 기반으로 철강수요는 향후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경기변동 특성
철강산업은 개별 수요 산업의 경기 변화에 대해 소비는 탄력적이지만 생산은 비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가 하향일 때에는 내수수요 감소로 수입은 줄고 주변국으로의 수출은 늘지만, 이와 반대로 경기상승 국면에서는 늘어나는 내수수요 대응을 위해 수출을 줄이고 수입이 증대하는 현상을 보입니다.
철강산업은 타 산업의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전방산업인 자동차, 건설, 조선 등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계절적 경기변동은 상대적으로 적다 할 수 있습니다.(4) 경쟁요소
국내 철강시장은 POSCO,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과 같은 메이저 업체들이 국내 대형 수요자에 대하여 자체 판매를 통하여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 등 중소형 수요자에 대하여는 이들 메이저 업체들의 판매대리점들에 의하여 제품이 공급되는 형태를 이루고있습니다. 이중 열연제품은 POSCO의 열연판매대리점이 전통적인 시장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나, 후발업체인 현대제철이 철강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장내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관세가 없어지고 제조기술의 일반화로 중국, 인도등 후발국들의 추격이 거세지면서 저가의 저품질 제품이 국내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대외적 경제여건과 원가부담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비자동화로 생산성 향상을 지향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제품의 품질개발과 판매망의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5) 자원조달의 특성
당사는 공정상 기준으로 제2차 가공업체로 분류되며 기타 제강업체는 철광석과 석회석 및 유연탄을 원료로 하는 전로업체와 고철을 원료로하는 전기로 업체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요 구매처인 포스코의 원재료 수급정책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환경규제의 강화추세가 철강산업에 있어 주요한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약요인으로는 바젤협약, UN기후변화협약, 탄소세 도입, 교토의정서등의 국제협약이 있습니다.
요약재무정보
2022년 06월 30일 현재 (단위 : 원 ) 구 분 제50기 반기 제49기 제48기 2022.06.30 현재 2021.12.31 현재 2020.12.31 현재 재무상태표 2022.06.30 2021.12.31 2020.12.31 자산 Ⅰ. 유동자산 92,444,556,782 84,362,793,259 58,312,155,565 1. 현금및현금성자산 1,257,950,384 3,030,064,712 2,941,256,019 2. 매출채권 33,816,915,177 31,712,154,334 31,578,461,457 3.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14,871,671,237 - - 4. 기타유동금융자산 53,156,091 3,869,529 2,850,262,346 5.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321,135,233 22,461,316,463 10,419,827,144 6. 기타유동자산 1,076,720,312 247,224,991 10,252,181 7. 재고자산 34,037,498,129 26,659,830,318 10,512,096,418 8. 유동파생상품자산 9,510,219 248,332,912 - Ⅱ. 비유동자산 136,691,085,962 125,476,469,105 129,378,476,074 1. 관계기업투자 77,492,046,535 68,328,912,861 58,268,519,852 2. 유형자산 13,793,595,617 13,849,307,848 13,736,399,054 3. 투자부동산 28,823,947,654 28,903,648,218 29,103,179,405 4. 무형자산 3,002,732,985 3,002,732,985 2,814,869,755 5. 사용권자산 466,417,036 429,007,320 222,791,214 6. 장기금융상품 564,415,426 376,638,156 2,731,139,365 7. 기타비유동금융자산 732,026,371 721,449,672 52,624,000 8.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1,728,002,309 9,764,312,583 22,386,784,990 9.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62,168,439 10. 기타비유동자산 87,902,029 100,459,462 - 자산 총계 229,135,642,744 209,839,262,364 187,690,631,639 부채 Ⅰ. 유동부채 66,344,908,186 58,507,480,580 40,324,531,322 Ⅱ. 비유동부채 9,035,957,520 8,338,161,229 28,281,642,936 부채 총계 75,380,865,706 66,845,641,809 68,606,174,258 자본 Ⅰ. 자본금 10,251,752,500 10,251,752,500 10,251,752,500 Ⅱ. 자본잉여금 16,413,892,188 16,413,892,188 16,269,897,779 Ⅲ. 자본조정 (1,442,764,250) (1,442,764,250) (1,442,764,250)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19,354,583) 881,059,037 1,472,676,916 Ⅴ. 이익잉여금 130,251,251,183 116,889,681,080 92,532,894,436 자본 총계 153,754,777,038 142,993,620,555 119,084,457,381 부채와 자본 총계 229,135,642,744 209,839,262,364 187,690,631,639 포괄손익계산서 22.01.01~22.06.30 21.01.01~21.12.31 20.01.01~20.12.31 1. 매출액 100,943,451,580 204,873,267,541 152,678,066,899 2. 영업이익 3,562,795,587 20,783,114,672 2,798,586,722 3. 법인세차감전순이익 14,052,670,628 31,847,032,796 10,228,141,530 4. 당기순이익 12,207,367,365 25,376,074,458 8,612,102,207 5. 총포괄손익 12,230,735,433 24,763,687,204 8,656,165,615 6. 기본주당이익 623 1,295 440